유전성 질환이란? 한 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전달되는 유전자의 문제로 발병하는 질환입니다.

품종에 따라 특정 질환이 연관되는 경우가 있는데요. 그래서 품종 특유의 유전성 질환을 알아볼려고합니다.

고고씽~

 

 

먼저 유전적 문제는 왜 발생하는가?

 

유전성 질환은 유전자의 결함 때문에 생깁니다. 유전적 질환은 보통 작은 집단 내에서 나타나거나 혈연관계가 너무 가까운 개체끼리 교미했을 때 발병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순혈종 고양이에게 더 흔합니다. 유전성 질환을 확인하기 위해 스크리닝 검사(선별검사)가 실시되기도 합니다.

 

순혈종 고양이는 품종 내의 유전자풀이 상당히 작기 때문에 개체군이 큰 잡종에 비해 결함 유전자의 영향을 더 많이 받게됩니다. 잡종의 경우 결함 유전자가 있어도 몇 세대를 거치면 대개 사라집니다.

 

그럼 품종 특유의 유전성 질환에 대해 알아봅시다.

 

병명

특징 관리법 관련 품종
원발성지루증 피부 및 털에 각질이 생기거나 기름이 많다 약용 샴푸로 자주 씻긴다 페르시안, 이그조틱
선천성빈모증 선천적으로 털이 없어 감염에 취약하다 치료법이 없다. 따뜻한 실내 환경에만 머물게 하고 잠재적 감염원을 차단시킨다 버만
출혈성 질환 상처가 나면 과도하거나 비정상적인 출혈이 나타난다 아물지 않은 상처를 찾아 출혈이 멋도록 처치하고 수의사에게 조언을 구한다. 버만, 브리티시 쇼트헤어, 데번 렉스
피루브산키나아제 결핍증 적혈구에 영향을 미쳐 빈혈을 일으키고 수명을 감소시킨다 수혈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아비시니안, 소말리
비대성심근증 심근이 두꺼워지고 대개 심부전을 일으킨다 심부전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약물을 투여한다. 메인 쿤, 랙돌
당원축적증 포도당 대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않아 중증 근력 저하를 불러오고 심부전을 일으킨다 치료법이 없다. 단기적 수액요법이 필요하다. 노르웨이숲고양이
척수성근위축증 진행성 근력 저하가 뒷다리부터 시작된다. 생후 15주 이후에 증상이 나타난다 치료법이 없다. 잘 보살펴주면 충분히 질적인 삶을 누리는 경우도 있다. 메인 쿤
데번 렉스 근육병증 전신에 근력 저하가 나타나고 걸음걸이가 비정상적이며, 삼키는데 어려움이 있다. 치료법이 없다. 기도폐색을 방지하기 위해 유동식을 소량씩 줘야한다. 데번 렉스
저칼륨성다발근육병증 근력 저하를 일으키며 신부전과 관련되어 있다. 보통 걸음걸이가 뻣뻣하고 머리가 떨린다. 칼륨의 경구 투여로 증상을 관리할 수 있다. 버미즈, 아시안
리소좀 축적증 효소의 결핍으로 신경계를 포함한 신체 시스템에 영향을 미친다. 효과적인 치료법이 없다. 보통어려서 죽는다. 페르시안, 이그조틱, 샴, 오리엔탈, 발리니즈, 버미즈, 아시안, 코랫
다낭포성신장질환 신장에 유체로 채워진 주머니(낭포)가 생겨 결국 신부전을 일으킨다. 치료법이 없다. 약물 투여로 신장의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브리티시 쇼트헤어, 페르시안, 이그조틱
진행성망막위축증 눈의 망막에 있는 간상체와 추상체가 변성되어 조기에 실명으로 이어진다. 치료법이 없다. 가능한 잠재적 위협을 피해 안전한 곳에서 길러야 한다. 아비시니안, 소말리, 페르시안, 이그조틱
골연골이형성증 통증을 동반하는 퇴행변성관절질환으로, 꼬리, 발목, 무릎의 뼈가 융합된다. 완화 요법으로 통증과 관절의 부기를 경감시킬 수 있다. 스코티시 폴드
맹크스증후군 척추가 너무 짧아서 척수 손상을 일으키고 방광, 장, 소화에도 영향을 미친다. 치료법이 없다. 질병이 확인되면 대부분 안락사시킨다. 맹크스

참고서적 : 고양이 백과사전

 

 

이렇게 품종 특유의 유전성 질환을 알아보았는데요 

기르는 고양이에게 유전성 질환이 있거나 발병했다면 그 질환에 대해 꼭 알아보시고 대부분의 유전성 질환들은 치료가 불가능하지만, 세심한 관리를 통해 증상을 완화시키고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으니까 포기하시지 마시고 기르셨으면 합니다.

또한 여기에 있는 품종들을 키우실 땐 꼭 알아보시고 키우시길 바라겠습니다.

그럼 안녕~

+ Recent posts